-
어상, 수라상, 진연상 등 전통 상차림 뜻카테고리 없음 2020. 8. 27. 16:03
① 어상(御床) : 임금님이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받는 상
② 수라상(水剌床)
③ 진연상(進宴床) : 외국사신을 대접할 때, 국가의 경사를 축하할 때, 왕과 왕족들의 생신이나 혼인, 회갑, 세자 책봉 등이 있을 때 차린다.
대전, 중궁전, 대왕대비 전은 똑같은 규모로 똑같은 시간에 올린다. 잔치의 진행에 맞추어 다음과 같이 올린다.
진어찬안(進御饌案) → 진어미수(進御味數) → 진소선(進小膳) → 진대선(進大膳) → 진어염수(進御塩水) → 진탕(進湯) → 진만두(進饅頭) → 진다(進茶) → 진어별찬안(進御別饌案) → 진어과합(進御果榼)
④ 수렵•꽃놀이잔치
⑤ 선원전 다례(璿源殿 茶禮)
⑥ 제향(祭享)
⑦ 천신(薦新)상차림의 분류 - 문화콘텐츠닷컴
조선왕실문양 이야기상차림의 분류 상차림의 분류 궁중의 상차림 궁중의 음식상은 받는 분 또는 차리는 목적과 때에 따라 다르게 된다. ① 어상(御床) : 임금님이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받는 상
www.culturecontent.com
http://www.culturecontent.com/main.do